학자금대출 이자 및 신용회복 지원사업을 실시.
서울시는 학자금대출로 인한 청년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달부터 2025년도 학자금대출 이자 및 신용회복 지원사업을 실시합니다. 학자금대출 이자는 3월 21일까지, 신용회복 지원은 오는 10월 24일까지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시는 사회 진출 전부터 부채를 안고 시작하거나 신용유의자로 등록돼 구직 등 사회생활 전반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을 돕기 위해 ‘학자금대출 이자 및 신용회복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청년 35,828명이 학자금대출 이자 3,738백만 원을 지원받고, 278명이 신용유의자에서 벗어 나는 데 도움을 받았다.
작년 하반기 학자금대출 발생이자 지원, 총 3만9천명 선정 예정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에 대해 이미 발생한 이자액을 남아 있는 원리금에서 차감하는 형태로 지원하는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사업은 이번에 신청하면 작년 7~12월 발생한 이자(등록금·생활비 포함)를 지원받게 된다.
시는 올해 더 많은 청년의 학자금대출 이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난해보다 지원 규모를 늘린 39,000명(상반기 20,000명, 하반기 19,000명)에게 지원할 예정이다.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을 받고 상환 중인 서울 거주 대학(원) 재·휴학생, 5년 이내 졸업생이라면 3월 21일 오후 6시까지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최종 지원 대상자와 지원액은 6월 중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학자금대출 장기 연체로 ‘신용유의자’된 청년, 초입금 지원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 장기 연체로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청년은 학자금대출 신용회복 지원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청년이 신용유의정보 등록 해제를 위해 한국장학재단과 ‘분할 상환 약정’을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납부해야 하는 초입금(채무 금액의 5%)을 시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로 신용유의자 등록된 서울 거주 19~39세 청년은 오는 10월 24일 오후 6시까지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 신청하면 된다. 다만, 예산이 모두 소진되면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신용유의자 등록 여부는 신청 전 본인이 한국장학재단 신용회복지원상담센터(1599-2250)에서 확인할 수 있다. '18~24년 사이 이미 지원받은 청년은 올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소액 대출 어려운 청년 위한 ‘긴급생활안정자금’ 대출
한편, 서울시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신용도가 낮아 생활·의료비 등으로 쓸 소액 대출조차 어려운 청년을 위해 ‘긴급생활안정자금 대출’도 지원하고 있다.
19~39세 서울 거주 청년 중에 채무조정·개인회생 성실 상환자 및 완제자인 경우, 금리 연 3% 최대 1천5백만 원까지 생활·의료비, 고금리 대출 상환 등에 필요한 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다.
긴급생활안정자금 대출은 상시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을 희망하는 청년은 신용회복위원회 콜센터(1600-5500)로 신청 자격 등을 상담한 후 가까운 신용회복위원회 지부를 방문하면 된다.
○ 지원대상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을 받은 서울 거주 대학(원) 재학생(휴학생) 및 5년 이내 졸업생
○ 신청기간 : 2025. 2. 10.(월) 10:00 ~ 2025. 3. 21.(금) 18:00
○ 신청방법 :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 온라인 접수
○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 지원대상 :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자 중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로 인한 신용유의자
○ 신청기간 : 2025. 2.10.(월) 10:00 ~ 2025.10.24.(금) 18:00
○ 신청방법 :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 온라인 접수
○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출처 : 서울시 - 내 손안에 서울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생활정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 '최대 50만원' 전국 최초 임신·출산 휴업 소상공인 지원 (5) | 2025.02.15 |
---|---|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추진… 규제완화로 시민재산권 보호 (5) | 2025.02.13 |
서울시 | 구직지원금 신청하세요! '서울우먼업'으로 여성 재취업 지원 (8) | 2025.02.11 |
기후동행카드 찍고 하남시까지! 5호선 4개역 확대 적용 (6) | 2025.02.08 |
서울시 | 저출생 극복! 반값 육아용품몰, 다자녀 우대카드 나온다 (13)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