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대폰 구입 이것만 알고 구입하자

by Galam. 2020. 8. 23.

휴대폰 구입 이것만 알고 구입하자

휴대폰을 바꾸는 경우는 사람마다 제각기 다릅니다.
분실 혹은 고장이 나서 / 저장 용량이 부족해서 / 배터리가 빨리 소모돼서 / 최신폰이 출시돼서 / 약정이 끝나서.. 등 정말 수많은 이유가 있겠죠

이런저런 이유로 휴대폰을 구입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과연 어떻게 구입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이처럼 휴대폰을 구입하는 목적이 제각각이듯이 구입하는 방법도 정말 다양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이 정도는 알고 구입하자는 의미로 몇 가지 정리해봅니다.

기본 용어 정리

통신사: SKT , KT, LG U+ 그리고 MVNP(알뜰폰)

· MVNP(알뜰폰)이란?
이동통신망사업자의 통신망을 임대하여 독자적인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
즉 SKT, KT, LG U+의 통신망을 임대해서 사업하는 별도의 업체입니다. 흔히 알뜰폰 혹은 별정통신이라고 하고 수많은 업체가 존재합니다.
예) 에넥스텔레콤, 모빙, SK텔링크, KT파워텔, KTM모바일, 머천드코리아, 이마트알뜰폰, 에스원안심모바일.. 등

※ 고객이 정확히 알고 가입하는 경우라면 선택의 문제겠지만, 가끔 보면 "나 SK 사용하는데.."라고 하셔서 조회해 보면 SK망을 사용하는 별정통신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판매하는 곳에서 의도적으로 SKT인 것처럼 판매한 경우일 수 있습니다. 또한 홈쇼핑에도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가입 및 개통유형

  • 신규가입: 새로운 번호로 가입하는 것
  • 기기변경: 기존 통신사를 유지하면서 기기만 변경하는 것
  • 번호이동: 사용하던 번호 그대로 통신사를 이동하는 것, 흔히 통신사 이동 혹은 줄여서 번이라고도 합니다.

번호 이동이라는 용어 때문에 번호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간혹 계신데.. 번호는 바뀌는 것이 아니라 통신사가 바뀐다는 의미입니다.

※ 보통 번호 이동이 기기 변경을 하는 것보다 10~15만 원 혹은 그 이상도 저렴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번호 이동을 하는 것은 좋지는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가족 결합할인이나 인터넷 결합할인 같은 것을 받고 있다면 어떤 경우는 번호 이동보다 기기변경이 더 유리할 수도 있으니까요

따라서 본인이 현재 통신사에서 어떤 혜택을 받고 있는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말기대금 및 할부

  • 현금완납: 휴대폰 구매 시 기기값을 현금으로 한 번에 납부하는 것.
  • 할부개통: 대부분의 소비자분들이 할부로 개통을 합니다.

당장 목돈이 들어가는 것보다는 매월 요금을 내는 것이 습관화되었기 때문이겠죠
그런데 가끔 보면 할부에 이자가 있다는 사실을 모르시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통신사 할부는 신용 할부이며 할부 이자가 다는 것을 알고 계셨으면 합니다.

또한 통신사 할부는 6,12,18,24,30,36,48개월로 가능합니다.
물론 모든 개월에의 할부 이자는 동일하고요

※ 할부 이자는 '원리금균등 연 5.9%'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할부로 하는 경우

  • 6개월 경우 할부 이자는 17,280원이며 월 2,880원
  • 12개월 경우 할부 이자는 32,240원이며 월 2,687원
  • 18개월 경우 할부 이자는 47,370원이며 월 2,632원
  • 24개월 경우 할부 이자는 62,620원이며 월 2,609원
  • 30개월 경우 할부 이자는 78,020원이며 월 2,601원
  • 36개월 경우 할부 이자는 93,570원이며 월 2,599원
  • 48개월 경우 할부 이자는 125,070원이며 월 2,606원

· 할부원금: 할부로 구매 시 내가 지불해야 하는 금액
※ 반드시 확인해야 할 부분이죠

약정기간

12개월 / 24개월 동안 해당 통신사를 사용하겠다고 약정을 하는 것
약정은 12개월, 24개월만 존재합니다. (할부와는 다름)
할부는 최대 48개월까지 가능하지만 약정은 최대 24개월 까지 가능합니다.

※ 약정은 약속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내가 24개월 동안 사용하는 것을 약속하는 대신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이냐" 이것이 핵심이죠

그리도 대부분 24개월 약정을 하고 있어서 12개월 약정이 있는지 모르십니다. 12개월 약정도 가능은 합니다만 혜택이 다소 줄어드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대부분 24개월 약정을 하게 됩니다.

※ 할부 기간과 약정 기간은 다른 것입니다.

할부를 36개월로 했다고 해서 약정도 36개월이 아닙니다. 약정은 24개월까지만 있으니까요
혹시 할부를 24개월 이상으로 하셨다면 24개월 약정이 끝난 후에 재약정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요금제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금 체계

※ 무조건 저렴한 요금제가 아닌!! 나에게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단말기 구매 시 반드시 고가 요금제를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서 나에게 이득이 되는지 판단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728x90

부가서비스

기본적인 요금제 외에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서비스로 통신사마다 수많은 종류의 무료서비스와 유료서비스가 있습니다.

※ 사용하면 편리한 부가서비스들도 상당히 있으니 필요에 의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다만 단말기 구매 시 반드시 혹은 의무적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상황에 따라서 나에게 이득이 되는지 판단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

· 공시지원금: 휴대폰 구매 시 약정을 하고 그 대가로 기기값을 공식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통신사마다 제품마다 요금제마다 금액은 다르며 대리점 및 해당 통신사 홈페이지에 계시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요금제가 높을수록 공시지원금은 높아집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높은 요금제로 공시지원금을 받는 것은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추후에 요금제를 내리게 되면 그 차액만큼 위약금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까요 (단, 180일이 지난 경우는 위약금이 발생하지 않기도 합니다.)

※ 판매자가 지원할 수 있는 최대의 금액은 해당 공시지원금의 15%까지입니다. 그 이상은 불법인 것이죠.

· 선택약정: 휴대폰 구매 시 혹은 약정이 없는 경우 해당 통신사와 약정을 함으로써 기본요금의 25% 요금할인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을 둘 다 받을 수 없으니 비교해서 유리한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선택약정과 공시지원 할인 그리고 기타 할인들

선택약정과 공시지원 할인 그리고 기타 할인들 선택약정, 공시지원 그리고 카드할인 등 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선택약정 할인] 선택약정이란 단말기 할인 대신 매월 기본요�

galam.tistory.com

휴대폰 구매 순서

  1. 본인의 통신사 및 요금제 그리고 가족결합 및 인터넷 결합 확인하기.
  2. 현재 기준의 위약금 및 할부금 확인하기.
  3. 휴대폰을 구입하는 목적 생각해 보기.
  4. 휴대폰 및 통신사 결정하기.
  5. 기본적인 시세 비교하기.
  6. 구입(개통) 하기.

1,2 번은 사용하던 휴대폰에서 114 즉 고객센터로 직접 확인이 가능합니다.
물론 대리점을 방문해서도 확인은 가능합니다.

3번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목적에 따라서 내가 구입할 모델이나 그 모델에 지불할 금액이 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겠죠.

4번은 1,2,3번의 결과로 정할 수 있습니다.

5번.. 사실 이것이 가장 힘든 부분일 수 있습니다.
본인 스스로가 판매를 해보았거나 판매 과정에 대한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온라인도 나쁘지 않습니다. 꼼꼼히 비교해 봐야겠죠.

그렇지 않다면 정말 믿을 수 있는 오프라인을 추천합니다.

종종 휴대폰을 구입하고 사기를 당했다고 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 '공짜인 줄 알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할부가 있더라'
  • '위약금이나 할부금을 대신 내준다고 했는데.. 아니더라'
  • '24개월 할부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36개월이었더라'
  • '몇 개월만 고가 요금제 사용하면 된다고 해서 나중에 요금제를 낮추니 위약금이 나오더라'

이런 경우는 판매자에게 따져야겠죠

그런데 대부분 이런 사실을 알고 따지려 해도 당시 판매자가 없거나 온라인인 경우 연락이 안 된다거나 등등 골치가 아픕니다. 간혹 해당 판매자자와 연락이 되어도 '다 설명했었다'라고 하는 경우도 많죠,
그럼 고소를 하거나 방통위나 소비자보호원에 고발을 하거나 하기도 하는데 그 처리 절차가 만만치 않습니다.
그래서 중도에 포기하거나 그냥 '잘 먹고 잘 살아라' 하는 경우도 생기죠.

이런 경우 말고도
제휴카드나 반값 할인(SKT 5GX 클럽, KT 중고보상, LG U+ 중고폰 가격보장) 등과 엮어서 마치 할인이 엄청나게 많은 것처럼 광고나 홍보를 하기도 합니다.
이런 제도가 나쁜 것은 아니나 제대로 알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최근 출시된 100만 원이 넘는 최신형 제품이 터무니 없는 가격이라면..
과연 믿어야 할까요? 그게 정말일까요?

절대!! 네버!! 그렇지 않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절대 손해 보고 장사하지 않습니다.

또한
오늘만! 고객님만! 특별히!
그런 것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오늘만 장사하고 말 것이 아니라면 그럴 수가 없으니까요,
오늘만 장사해도 절대 손해 보고는 안 합니다.

어떠한 말보다 계약서를 믿으셔야 합니다.

제품을 구매할 때 저렴하게 구입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다만 합리적으로 가능한 것인가는 꼭 한번 생각해 보고 정확히 내가 계약하는 내용이 어떤 것인지 확인해야 할 의무는 판매자뿐만 아니라 구매자에게도 있습니다.

세상에는 '조건 없는 공짜'는 없습니다.


참고용으로 통신 관련 은어를 정리해 봅니다.
· LG : 르그, ㄺ
· SK : 스크, ㅅㅋ
· KT : 크트,ㅋㅌ

· 현금완납 : 현완, 현아, ㅎㅇ
· 선택약정 : 선약, ㅅㅇ
· 공시지원: 공시, ㄱㅅ

· 번호이동 : 번이, ㅂㅇ, ㅂㅎㅇㄷ
· 기기변경 : 기변, ㄱㅂ
· 페이백 : ㅍㅇㅂ
· 요금제 : 욕

· 부가서비스x : 부무, ㅂㅁ
· 부가서비스o : 부유, ㅂㅇ

· 갤럭시 : 우주
· 아이폰 : 사과

· 강변테크노마트 : ㄱㅂㅌㅋㄴ, ㄱㅂ
· 신도림테크노마트 : ㅅㄷㄹ, ㅅㄷㄾㅋㄴ
· 좋은 조건으로 구매할 수 있는 가격이 뜸 : 스팟, 대란, ㅅㅍ

이런 것들이 있죠

알고는 있어서 정리는 하지만 제발 이런 말은 사용 안 했으면 하네요
특히 온라인상에서 무슨 007작전처럼 행해질 때 사용하는 그런... 것이라면 더더욱

한두 사람은 몰라도 대다수는 오히려 그러다가 호갱이 됩니다.
(저도 호갱이라는 단어를 사용 안 하려 하는데...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어서 ;;)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