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요금제 LTE요금제로 변경과 위약금 이슈!
5G요금제 하향변경 이슈사항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5G 요금제 개통 후 LTE 요금제로 변경 시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5G 단말기 출시 초기 5G 요금제로 개통 후 유지기간이 지나면 LTE 요금제로 변경 가능하다는 상담을 받고 개통하신 분들이 계시죠.
초기 상담대로 6개월 후 요금제를 변경하면 위약금부과 등 문제의 소지가 있어 알아본 결과
※ SKT, KT
5G에서 LTE 요금제로 변경 가능하지만 LTE 단말기 있어야 함.
- LTE 공기계에 기존 유심 삽입 후
- 114로 전화를 해서 요금제 변경하고
- 5G 단말기에 다시 유심 삽입.
* 주의: SKT의 경우 2019년 12월 1일 가입자 까지만 가능, 이 후 가입자는 가입방식에 따라 위약금 발생.
(선택약정) 기본료 25%할인: 위약금 미발생, (공시지원) 단말기: 할인금액의 차액 위약금 발생
※ LG U+
5G에서 LTE 요금제로 변경 가능. 단 13개월 이후 가능.
(13개월 이전 변경 시 환수) LTE 단말기가 있어야 하며 LTE폰으로 확정기변 후 5G폰에 유심을 꼽아 사용.
* 주의: "LTE그대로" 약정을 가입한 분은 LTE요금제는 물론 5G요금제 그대로 하향 변경해도 위약금 발생!
728x90
아래는 통신사별 위약금관련 공지사항입니다.
요금제 변경시 꼭 개통한 매장에 확인 후 변경을 하세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휴대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부가서비스팩 "스마트콜 PICK" 가입/변경 (0) | 2020.03.20 |
---|---|
갤럭시 S20 통신사별 고유컬러와 기종 (0) | 2020.03.19 |
[SKT] 부가서비스 FLO 앤 데이터 사용법과 무료가입방법 (0) | 2020.03.19 |
[SKT]부가서비스 wavve 앤 데이터 (0) | 2020.03.19 |
보급형 최강자 가성비폰 LG Q51 알아보기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