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혼부부6 서울시 | 신혼부부 주목! 올해 첫 '미리내집' 모집…자격조건은? 4.24.~25. 367세대 모집, 4.28. 200세대 입주자 모집 공고올해 첫 ‘미리내집’ 모집공고가 나왔습니다. 서울시는 동대문구 이문 아이파크자이, 중랑구 중화 리버센 SK뷰 롯데캐슬 등 신규 아파트와 재공급 단지에 입주할 367세대를 모집합니다. 4월 28일에는 보증금 지원형 미리내집 200세대에 대한 신규 모집 공고도 진행됩니다. 결혼 계획이 있거나 신혼부부라면 더 없이 좋은 기회! 입주 이후 세대원 수가 증가하는 최장 20년까지 거주기간을 연장하고 시세보다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안내합니다. 신혼부부 미리내집(장기전세주택Ⅱ) 제4차 공급서울시가 올해 첫 공공임대주택 ‘미리내집’ 입주자 모집에 나선다. 총 567세대로, 제4차 미리내집(장기전세주택∐) 367세대와 보증금 .. 2025. 4. 14. 서울시 | 올해 마지막 찬스! 신혼부부 '미리 내 집' 서초·성동 등 공급 신혼부부를 위한 ‘미리 내 집’ 395호 공급신혼부부를 위한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미리 내 집’의 올해 마지막 물량이 나옵니다. 내년 1월 초에 입주희망자 신청을 진행하며, 서초구 잠원동(메이플자이), 성동구 용답동(청계SK뷰) 등 6개 신규단지 등 395호가 다양한 면적으로 공급됩니다. 또한, 올림픽파크포레온 미계약분 입주자도 추가 모집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올해 두 차례 입주자 모집에서 최대 경쟁률 200대 1을 넘어서며 인기를 모았던 서울시의 신혼부부 장기전세주택Ⅱ ‘미리 내 집’이 올해 마지막 입주자 모집에 들어간다. 이번에는 잠원동(서초)·용답동(성동) 등 6개 신규 단지 등에서 전용면적 41~84㎡ 다양한 면적으로 공급된다. 서울시가 2024년도 제3차 ‘미리 내 집’ 395세대 .. 2024. 12. 23. 올림픽파크포레온 다음은? 신혼부부 '미리 내 집' 확대 신혼부부를 위한 장기전세주택Ⅱ ‘미리 내 집’을 공급. 신혼부부를 위한 서울의 주택정책 ‘장기전세주택Ⅱ(SHift2)’가 이제 ‘미리 내 집’이란 이름으로 공급됩니다.서울시는 지난 7월 뜨거운 관심을 모았던 1호 ‘미리 내 집’ 입주 모집에 이어, 추가로 '327호' 입주 모집을 진행합니다. 교통, 인프라 등을 갖춘 6개 단지에서 49~84㎡의 다양한 면적으로 공급됩니다.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서울시가 신혼부부를 위한 장기전세주택Ⅱ를 ‘미리 내 집’이라는 이름으로 본격 공급한다. 지난달 모집한 ‘미리 내 집’ 제1호 올림픽파크포레온에 이은 6개 단지, 327호 추가 공급이다. 8월 30일 입주자 모집 공고 후, 9월 11~12일 이틀간 신청 예정이다.SH공사 누리집 바로가기 입주자 모집 주택은 ▴.. 2024. 9. 2. 월 974만원 맞벌이도 가능! 신혼부부 장기전세 '올림픽파크포레온' 신혼부부 장기전세 '올림픽파크포레온' 서울시가 지난 5월, 저출생 극복 대책으로 내놓은 장기전세주택Ⅱ(SHift2) 선정기준을 더 파격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본격 공급에 들어갑니다.실질적인 주거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국토부와 자산기준, 재계약 조건 등을 완화키로 했는데요. 부부 소득기준을 대폭 완화하고, 자녀 한 명만 낳아도 소득과 재산 관계없이 거주기간을 연장합니다. 또한 무주택기간 가점을 폐지해 젊은 신혼부부의 입주기회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그 상세한 내용을 살펴봅니다.서울시는 7월 23~24일 신혼부부 또는 예비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올림픽파크포레온 장기전세주택Ⅱ 입주 신청을 받는다. 전용면적 49㎡ 150세대(무자녀 가구)․59㎡ 150세대(유자녀 가구)를 모집하며, SH공사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 2024. 7. 11. 신혼부부를 위한 통 커진 혜택! 3년간 공공주택 4,400호 공급 신혼부부를 위한 통 커진 혜택! 높은 주거비로 출산을 망설이는 신혼부부를 위해 서울시가 특단의 대책을 마련했습니다.'장기전세주택(SHift)'의 입주 대상을 아이 없는 신혼부부, 예비 신혼부부로 확대하고 거주 중 아이를 낳을 경우 최장 20년까지 계약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또 주변시세의 최대 50% 수준으로 신혼부부 맞춤형 주거공간과 서비스까지 누릴 수 있는 '신혼부부 안심주택'도 공급합니다. 서울시가 올해부터 3년간 신혼부부에게 공공주택 4,396호를 공급한다. 이후 2026년부터는 매년 4,000호씩, 한해 결혼하는 신혼부부 3만 6,000쌍(2023년 기준)의 약 10%에게 아이를 낳아 키우는 동안 ‘집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주택’을 책임지고 공급한다. 서울시, ‘저출생 대응 신혼부.. 2024. 6. 1. 2025년부터 서울시가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에 '월 30만원' 2년간 지원 서울시가 '자녀출산 무주택가구'에 월 30만 원의 주거비 지원.서울의 집값이 부담스러워 아이 낳기를 주저하거나 수도권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에 서울시는 '자녀가 태어난 무주택가구'에 월 30만 원씩 2년간 '주거비'를 지원하는 저출생 대책을 추진합니다.지원대상은 내년 이후 출산한 가구로, 부모의 소득과 나이에 관계 없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학업과 일자리를 위해 서울에서 살던 청년들이 결혼과 출산을 고민하는 시기가 되면 서울의 높은 집값 때문에 서울을 떠날 결심을 하게 된다. ‘주택’과 ‘가족’ 때문에 서울에서 경기·인천으로 이주하는 인구는 매년 증가해 지난해에만 약 20만 명에 달하고 있다. 이렇듯 서울의 높은 주거비는 아이 낳을 결심을 가로막는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통계청에 따르면 서.. 2024. 4. 30. 이전 1 다음 반응형